728x90

밀리터리 63

(UAV) UAV 형태별 특징

UAV는 이착륙 형태에 따라 크게 고정익, 회전익, 그리고 틸트로터와 같은 혼합형으로 구분한다. ** 틸트로터: 이착륙 시 수직으로 기동 하고, 일정 고도에서 로터를 90도 회전하여 고정익프롭기와 같은 형태로 비행하는 항공기 *틸트로터기의 대표 기종인 오스프리 참조 (헬기) V-22 (Osprey 오스프리), 미국, 벨+보잉 V-22 오스프리는 벨과 보잉이 개발한 틸트로터 방식의 수송헬기이다. 일반적인 수송헬기의 느린 속도와 고정익 수송기의 착륙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한 기체로, 육해공 전분야에서 다목적으 offspring163.tistory.com + 고정익형 1) 고속 기동이 가능하며, 장거리 비행에 유리 2) 육상에서는 활주로를 주로 이용하며, 소형의 경우 발사대를 이용하여 이륙 3) 함상에서는..

밀리터리/무인 2023.03.11

(센서) 합성개구소나, SAS(Synthetic Aperture Sonar)

합성개구레이더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되는데, 레이더 대신 소나를 이용하여 수중환경에서 다수의 음향 Ping을 수집한다. 다수의 음향 Ping을 쏘는 것이 특징이며, 수집한 다수의 음향 데이터를 분석, 결합하여 매우 정교하게 처리한 뒤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구현한다. 일반적으로 잠수함에서는 SSS(Side Scan Sonar)를 사용하여 해저 지형을 탐색하고 영상으로 구현하는데, SAS 합성개구소나는 SSS 대비 10배 정도 좋은 해상도의 이미지 구현이 가능하다고 한다. +작동원리 수중 소나의 경우 트랙에 따른 방위각 해상도는 음향 파장과 배열 길이 사이의 비율로 계산이 가능하다. 일반적 SSS 경우 비율이 1:60(60m 범위에서 1m 해상도) ~ 1:400 정도의 해상도를 가지며, 소나 배열 길이가 ..

밀리터리/센서 2023.03.11

(수중유도무기) 백상어(K-731), 중어뢰

대한민국이 처음으로 개발한 어뢰이며 직경이 19인치로, 21인치 중어뢰 발사관에서 운용가능하다. ADD와 LG정밀(LIG넥스원)이 8년에 걸쳐 개발하였고, 1998년 개발완료하여 209급 잠수함, 돌고래 급 등에 탑재하여 운용했으며, 양산은 2004년 시작했다. 국산 중어뢰인 백상어(K-731)는 최초 한국해군 운용 잠수함인 돌고래급의 주요 무장으로 개발되었는데, 당시 낮은 기술력으로 인해 잠수함의 발사관을 21인치까지 제작해내지 못했고, 결국 크기에 맞는 19인치 어뢰를 개발했다는 뒷 이야기도 있다. Fire & Forget 방식으로 발사되며, 수동/능동 소나를 조합한 음향 탐지장치, 완전한 디지털 유도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다. 직경은 19인치(483mm), 길이 6m, 중량 1.1톤, 사거리 30km..

밀리터리/화력 2023.03.01

(수중유도무기) 청상어(K-745), 경어뢰

국산 경어뢰인 청상어급 어뢰는 대함 및 대잠 공격이 가능하며, 운용플랫폼은 초계함급 이상의 함정, 대잠 해상작전헬기, 해상초계기 등이다. 추적센서는 Fire & Forget 방식으로 발사 후 수중에서 타겟까지 어뢰자체의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한다. *Fire & Forget 발사(Fire) 후 망각(Forget), 미사일이나 어뢰 발사 후 목표물까지 탑재된 센서를 가지고 추적하며, 발사체에 신경 쓰지 않아도 타겟을 자동 추적하여 명중하는 방식으로 F&F라고도 함. 발사 후, 발사체와 상관없이 플랫폼은 어디로든 이동이 가능하므로 생존율이 높아짐 청상어 개발 기술은 미국 Honeywell 사와 공동으로 개발한 한국형 경어뢰(K-744)에서 많은 아이디어를 얻었다. * K-744 미국의 Mk.44 경어뢰를 천해..

밀리터리/화력 2023.03.01

(유도무기) SM, Standard Missile, 스탠다드미사일

미 해군에서 개발하고 운용하는 스탠다드미사일 SM은 우리 해군에서도 운용하는 함정 기반 대표적인 대공 요격 미사일이라고 할 수 있다. 스탠다드미사일은 Talos, Tartar, Terrier로 구분되는 일명 3T 시리즈 대공미사일 개발로부터 시작된다. 2차 세계 대전 당시, 대공전은 미사일보다 함포가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당시 기술로 함포로 대공전이 가능할 리 만무하였고, 명중률 또한 절망적이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미국 또한 2차 세계 대전을 겪으면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였고, ‘범블비 작전’이라는 프로젝트하에 대공미사일 3T 시리즈를 개발하게 되었다. + Talos 당시 소련 폭격기 등 대형항공표적을 대상으로 설계된 미사일이며, 4톤에 가까운 중량과 큰 사이즈로 인해 ..

밀리터리/화력 2023.03.01

(발사대) 수직발사대, VLS, Vertical Launching System

수직발사장치인 VLS는 함정 혹은 잠수함에서 미사일을 저장하고, 발사하는 장치이다. 발사대에 미사일 1개가 들어가는 모듈을 셀(Cell)이라고 부르며, 국내 구축함급 수상함정에서는 이렇게 모듈형태로 된 발사대를 함수/미에 나눠 선체 안쪽에 탑재한다. 잠수함은 수직발사대가 별도의 모듈로 되어있는데, 함의 크기, 운용미사일 종류에 따라 국가마다 다양하게 운용한다. SLBM(Submarine Launched Ballistic Missile)이라는 명칭은 잠수함에서 발사하는 탄도미사일이라는 의미로, 탄도미사일은 주로 수직발사장치로 발사하기 때문에 SLBM이라고 하면 거의 잠수함에 장착된 수직발사대를 사용한다고 보면 된다. 육상에서 발사하는 일반적인 미사일이 각도를 가지고 발사되는 방식과 달리, 수직발사대는 Ce..

밀리터리/화력 2023.03.01

(헬기) V-22 (Osprey 오스프리), 미국, 벨+보잉

V-22 오스프리는 벨과 보잉이 개발한 틸트로터 방식의 수송헬기이다. 일반적인 수송헬기의 느린 속도와 고정익 수송기의 착륙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한 기체로, 육해공 전분야에서 다목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개발배경 1930년대, 틸트로터 기체는 본격적으로 관심을 받기 시작하였는데, 고정익+회전익의 임무를 동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첫 틸트로더기인 XV-3은 성능 미달과 기술적 문제로 개발이 중단되었다. 이후 끊임없는 기술적 한계에 봉착하여, 개발이 매우 더디게 되었다. 1970년대에 이르러 NASA와 벨헬리콥터가 함께 개발한 XV-15 틸트로터기가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1981년 미국 JVX 프로그램 계획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JVX: Joint-service..

밀리터리/공중 2023.02.19

(USV) 튀르키예 최신 USV 모델 4종

1. ULAQ튀르키예 최초의 무장무인수상함(AUSV, Armed USV) 프로토 타입ARES Shipyard와 Meteksan Defense Systems의 합작으로 개발된 터키 최초의 무장 무인수상함으로, 2020년 8월 설계를 완료 하고, 10월 대중에게 최초 공개되었다. 프로토타입은 2021년 공개되었고, Roketsan의 유도미사일 목표물에 정확히 명중하는 발사시험에 성공하였고, 22년 이후 대량생산 진행중이다. 기본적으로 전투함에 탑재가 가능한 사이즈이며, 지상 지휘센터 및 해상플랫폼에서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주요 임무는 감시/정찰, 전자전, 지상전, 비대칭전, 호위, 대잠전 및 기뢰전까지 다양하고, 임무에 따라 탑재 모듈을 변경하여 해당 임무에 최적화 될 수 있도록 설계 되었다. Sea Sta..

밀리터리/무인 2023.02.18

(센서) SAR, Synthetic Aperture Radar, 합성개구레이더

EO(전자광학)/IR(적외선) 카메라, SAR(합성개구레이더)는 저궤도위성과 무인항공기에 주로 탑재되어 사용되는 센서이다. EO/IR은 영상정보를 중심으로 한 직접적인 정찰/감시 센서이며, SAR은 공중에서 지상/해양을 관찰하는 능동 센서 레이더라고 할 수 있다. SAR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긴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물체를 탐지하며, 이런 원리 덕분에 주/야간 전천후 지구 표면 탐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원리는 지상/해양을 향해 공중에서 레이더파를 순차적으로 발산한 이후, 레이더파가 굴곡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미세한 시간차를 처리하여 지상지형도 등 영상을 만들거나 지표를 관측한다.수중에서는 전파를 사용하는 지상과 달리 음파를사용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합성개구소나, SAS(Synthetic Aperture ..

밀리터리/센서 2023.02.16

(잠수함) 버지니아급(Virginia class), 미국

로스엔젤레스급 잠수함의 후속 모델로 시울프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과 연안작전에 특화된 잠수함이다. 최대전술속도(소음을 억제하면서 항주가능한 속도)는 20노트이며, 조류환경에서 호버링을 유지하는 등, 인치 단위 잠수함 이동이 가능하다. 버지니아급 잠수함은 냉전시대가 종결되면서 대양 작전보다는 적국 연안에서 작전 가능한 잠수함이 필요함에 따라 소요가 제기 되었다. 로스엔젤레스급 후속으로 개발한 씨울프급이 상당히 고가였기때문에, 저렴한 잠수함 개발 필요한 점도 한 몫 했다고 볼수 있다 . 버지니아급 잠수함의 개발 중 특징으로는 컴퓨터설계기술(ex, CATIA)을 이용한 최초의 잠수함으로 설계비용, 목업비용을 절감하고, 모듈화를 통해 정비 비용 절감했다는 점이다. 지금은 당연하게 활용하고 있는 Tool..

밀리터리/해상 2023.02.1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