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화력

(유도무기) SM, Standard Missile, 스탠다드미사일

버드나무와이저 2023. 3. 1. 23:40
728x90
728x90

 

미 해군에서 개발하고 운용하는 스탠다드미사일 SM은 우리 해군에서도 운용하는 함정 기반 대표적인 대공 요격 미사일이라고 할 수 있다.
스탠다드미사일은 Talos, Tartar, Terrier로 구분되는 일명 3T 시리즈 대공미사일 개발로부터 시작된다.
2차 세계 대전 당시, 대공전은 미사일보다 함포가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당시 기술로 함포로 대공전이 가능할 리 만무하였고, 명중률 또한 절망적이었다.


미국 또한 2차 세계 대전을 겪으면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였고, ‘범블비 작전’이라는 프로젝트하에 대공미사일 3T 시리즈를 개발하게 되었다.


+ Talos
당시 소련 폭격기 등 대형항공표적을 대상으로 설계된 미사일이며, 4톤에 가까운 중량과 큰 사이즈로 인해 주로 대형함정에서만 운용됨

+ Terrier
Talos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고 당시로서는 최첨단 기술인 레이더 호밍 유도 장치가 장착되어 가장 많이 운용됨

+ Tartar
3T 시리즈 중 가장 소형으로 개발되었으며, 근거리 대공 방어가 주요 임무

이러한 3T 시리즈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성능 개량을 통해 스탠다드미사일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RIM-66, RIM-77은 이렇게 탄생한 스탠다드미사일의 최초 SM-1이 된다.

미해군 순양함에서 발사되는 RIM-66 SM-2MR 미사일 - seaforces.org


+ RIM-66
Terrier 기술로 Tartar의 성능을 향상시켜 개발한 미사일로 Standard MR(Medium Range)이라는 제식명 부여

+ RIM-67
Standard ER (Extended Range)이라는 제식명이 부여되었으며, Terrier를 대체하는 전력으로 운용

스탠다드미사일은 현재 미국 미사일방어청(MDA, Missile Defense Agency)을 중심으로 운용되는 미국 탄도미사일방어체계(BMDS, Ballistic Missile Defense System)에서, 이지스함에 탑재되어 탄도미사일을 요격하는 주요 무기체계로 운용되고 있다.

주로 운용되는 스탠다드미사일은 SM-2, SM-3, SM-6이며, 다양한 Block으로 업그레이드되어 지속적으로 성능 개량 되고 있다.

우리나라 또한 이지스함인 정조대왕함에 SM-3를 탑재 계획함에 따라 향후 북한의 대공 위협에 보다 확실하게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참고자료>
스탠다드미사일 계보
https://en.missilery.info/missile/zur-standard

 

Guided missile family Standard | Missilery.info

 

en.missilery.info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