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밀리터리/무인 19

(무인헬기) S-100, Schiebel,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 쉬벨사에서 개발한 S-100 Camcopter는 회전익UAV(헬기형)로 가격대비 성능이 좋고 운용측면에서 편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민간/군사목적으로 많이 운용되고 있습니다. S-100은 2003~2005년까지 개발되어, 현재는 다양한 국가의 해군 및 육군에서 운용 중이며, 대한민국 해군에서도 도입하여 다양한 감시정찰, 통신중계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천후 운용이 가능한 S-100은 군사 및 민간 애플리케이션에서 다목적으로 사용가능하며, 수직 이착륙(VTOL) 운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함정의 헬기 갑판 등 제한된 공간에서도 운용이 가능합니다. 주간 및 야간, 나쁜 날씨 조건에서도 작동할 수 있으며, 탄소 섬유와 티타늄으로 만들어진 동체는 최대 5,500m(18,000ft..

밀리터리/무인 2024.11.11

(UUV) Blue Whale, Israel

1. 주요제원- 길이 10.9미터, 지름 1.12미터, 무게는 약 5.5톤, 최대 300m 까지 작전수행 가능 - 임무종류와 배터리 상태에 따라 최대 30일간 운항가능 - 잠수작전속도: 2~3노트, 최대속력 7노트 - 센서: AESA레이더, 전자광학/적외선(EO/IR), 시긴트(SIGINT), 소나 등 * 시긴트: 신호를 뜻하는 ‘시그널'(signal)과 ‘정보'(intelligence)를 결합한 용어로 위성이나 특수장비를 활용해 통신, 통화내용을 감청한 정보 휴민트(HUMINT)로 알려진 간첩이나 스파이가 내부정보원을 접촉해 정보를 수집하는 활동이 기술 진보로 스마트폰과 이메일을 활용한 시긴트로 진화 - 자기센서, 통신용위성(SATCOM) 탑재로 위성채널을 통해 지휘통신센터에 데이터 전송 가능 - 수중..

밀리터리/무인 2023.12.09

(UAV) 영국해군 미래 해상공중전력

1. Vixen- 고정익 다목적 UAV로 (2)x500kg 페이로드, 발진 시 사출기가 필요하며, 다목적 임무 수행 - 광역감시/정찰, 전자전, 무장을 이용한 공격지원 임무 수행 - 사출기 운용 시, 35m 가량 이함 거리 필요 - QEC등 항모에서 운용가능한 후보군으로 VIxen이외에 MQ-28 Ghost Bat (호주 로열윙맨, 보잉개발)이 거론되나, 항모작전형태 및 AUKUS를 통한 국방협력을 고려할 때 적합한 형태의 모델이 아닌 것으로 보임 - GCAP (영국-이탈리아-일본의 글로벌 전투항공프로그램)의 일부로서 Vixen을 초기부터 항모용으로 개발 - Vixen급 UAV와 같이 항모용 무인항공기의 또다른 후보군으로는 미국에서 개발한 Kratos XQ-58 발키리, Kizilelma(바이락타르,터키..

밀리터리/무인 2023.12.09

(USV) UK MUSV XV, Patrick Blackett

1. 주요 제원 및 탑재량 - 영국에서 개발중인 USV 실험용 선박 - 길이 42m, 배수량 270톤, 최대속도 20노트, 5명의 영국해군 승무원 탑승 가능 - 화물갑판면적 140m2 (적재용량 m2당 2.5톤) - 데크공간 USV, AUV 수용 가능 - 함내부는 100명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 (평시에는 회의실 및 운영센터로 운용) https://www.naval-technology.com/projects/xv-patrick-blackett-experimental-vessel-uk/?cf-view XV Patrick Blackett Experimental Vessel, UKThe XV Patrick Blackett experimentation vessel will reduce the need ..

밀리터리/무인 2023.12.09

(USV) 미해군 대형무인수상정, LUSV

1. 개발업체 선정- 2020년 9월 미해군 LUSV(대형급무인수상정) 개념구체화 및 설계사양 연구계약 체결 - 체결대상 6개 업체: 헌팅턴잉걸스, 록히드마틴, 볼린저조선소 록포트, 마리네트마린, 깁스앤콕스, 오스탈USA - 2022년 7월 6개 계약에 대한 변경 승인, 2024년 9월까지 계약 연장 - 미해군 USV는 길이 기준으로 4가지로 구분, Very small(7m이하), Small(7~12m), Medium(12~50m), Large(50m이상) - 미해군 LUSV인 Overload USV확보를 위해 4가지의 프로토타입 함정 연구 진행 (NOMAD, Ranger, Mariner, Vanguard) 2. 주요 임무, 제원 및 확보계획- 분산해양작전(DMO) 지원, 합동군 미사일전력보조 및 미사일..

밀리터리/무인 2023.12.09

(UAV) MIUS, Baykar

튀르키예 무인항공기 전문 방산업체 BayKar Defence에서 개발한 무인항공기이다.단거리 이착륙이 가능하기 때문에, TCG Anadolu 강습상륙함에서 운용을 목표로 개발하고 있으며, UCAS (Unmanned Combat Aircraft System)를 탑재하여 인공지능(AI)과 지능형 함대자율기술을 통합하고, 단독 비행 및 유인전투기와 편대비행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TCG Anadolu 함에 탑재되면 최소 10대의 항공기가 동시에 작전에 투입될 수 있으며, 함정의 지휘/통제센터에서 지휘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첫 번째 시제품(2023년 첫 비행 목표)은 아음속으로 진행되지만 다음 시제품은 음속(초음속) 이상으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며, 서로 다른 터보팬 엔진 A와 B를 사용하는 MIUS의 두 ..

밀리터리/무인 2023.05.25

(UAV) TB3, Baykar

주익이 접이식 형태인 UCAV(Unmanned Combat Aerial Vehicle)이며, 튀르키예 방산업체인 Baykar 가 독자적으로 개발하였다. 항공모함 혹은 전통 비행갑판이 있는 강습상륙함 등 에서 운용 가능하며, 단거리 이착륙이 가능한 세계 최초 전투형 무인항공기이다. TB3 UCAV의 주요 임무는 정찰/감시, 정보수집 및 목표물 공격이며, 주요 무장은 주익 아래에 배치된 스마트 탄약이다. 사전 공격 임무를 부여받고, 임무에 투입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1. 주요 특징1) 주익이 접이식으로 구성되어, 격납에 유리하며, 항공모함 혹은 강습상륙함에서 운용 시 무장탑재 및 공격 작전 수행 2) 항공모함 혹은 강습상륙함에서 이착륙 가능하며, 완전 자율 이착함 체계 반영 2) 가시선 및 가시선을 넘는 통..

밀리터리/무인 2023.05.25

(UAV) UAV 형태별 특징

UAV는 이착륙 형태에 따라 크게 고정익, 회전익, 그리고 틸트로터와 같은 혼합형으로 구분한다. ** 틸트로터: 이착륙 시 수직으로 기동 하고, 일정 고도에서 로터를 90도 회전하여 고정익프롭기와 같은 형태로 비행하는 항공기 *틸트로터기의 대표 기종인 오스프리 참조 (헬기) V-22 (Osprey 오스프리), 미국, 벨+보잉 V-22 오스프리는 벨과 보잉이 개발한 틸트로터 방식의 수송헬기이다. 일반적인 수송헬기의 느린 속도와 고정익 수송기의 착륙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한 기체로, 육해공 전분야에서 다목적으 offspring163.tistory.com + 고정익형 1) 고속 기동이 가능하며, 장거리 비행에 유리 2) 육상에서는 활주로를 주로 이용하며, 소형의 경우 발사대를 이용하여 이륙 3) 함상에서는..

밀리터리/무인 2023.03.11

(USV) 튀르키예 최신 USV 모델 4종

1. ULAQ튀르키예 최초의 무장무인수상함(AUSV, Armed USV) 프로토 타입ARES Shipyard와 Meteksan Defense Systems의 합작으로 개발된 터키 최초의 무장 무인수상함으로, 2020년 8월 설계를 완료 하고, 10월 대중에게 최초 공개되었다. 프로토타입은 2021년 공개되었고, Roketsan의 유도미사일 목표물에 정확히 명중하는 발사시험에 성공하였고, 22년 이후 대량생산 진행중이다. 기본적으로 전투함에 탑재가 가능한 사이즈이며, 지상 지휘센터 및 해상플랫폼에서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주요 임무는 감시/정찰, 전자전, 지상전, 비대칭전, 호위, 대잠전 및 기뢰전까지 다양하고, 임무에 따라 탑재 모듈을 변경하여 해당 임무에 최적화 될 수 있도록 설계 되었다. Sea Sta..

밀리터리/무인 2023.02.18

(UAV) 무인항공기 운용 장단점

1. 무인항공기의 운용의 장점 + 높은 경제성 비용대 효과 측면에서 볼 때 낮은 설계수명 적용이 가능하여 획득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고, 훈련 등에 드는 운용 시간 감소로 운영유지비를 절감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약 30여 년간 운영되는 군용 항공기는 파일럿의 안전과 장기간의 운용을 위해 10,000시간 전후의 항공기 운용 시간을 필요로 하는데, 이를 위해 항공기 기체, 구조, 안전장치 등 다양한 요소가 설계부터 감항인증을 획득하기까지 철저하게 관리된다. 소모품처럼 제작 가능한 무인항공기는 우선 생산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파일럿의 신체 능력과 관계없이 설계가 가능하다. 무게, 크기, 날개 등 항공역학적으로 유리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유인항공기에서 가질 수 없는 상대적으로 낮은 레..

밀리터리/무인 2023.02.1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