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밀리터리/화력 15

(유도무기) 비룡, 함대함/함대지 유도로켓

원래 K-136 다련장로켓의 130mm 무유도로켓(구룡)에 유도기능을 추가하여 개량한 유도로켓이다. 주요 제원은 총 길이 3.5m, 직경 130mm로 속도는 마하 2, 사거리 20km, 탄두중량 8kg, 총 중량은 80kg가량이다. 사거리는 헬파이어미사일(AGM-114, 8~10km)의 2배가량이며, 스파이크 NLOS급(스파이크 대전차미사일 대함버전, 사거리 30km)과 유사한 사거리를 갖고 있다. https://offspring163.tistory.com/78 (유도무기) Helfire, 헬파이어미사일, AGM-114, 미국, 공대지/대전차미국의 종합방산업체인 록히드마틴에서 개발한 대지/대전차 미사일로 1984년 실전배치 되었다. 헬기와 같은 회전익기 및 저속항공기에서 사용제한을 받는 TOW미사일의 대..

밀리터리/화력 2024.11.09

(유도무기) Helfire, 헬파이어미사일, AGM-114, 미국, 공대지/대전차

미국의 종합방산업체인 록히드마틴에서 개발한 대지/대전차 미사일로 1984년 실전배치 되었다. 헬기와 같은 회전익기 및 저속항공기에서 사용제한을 받는 TOW미사일의 대체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정식명칭은 Helicopter launched fire-and-forget이다. 헬파이어미사일은 화력이 강하고 빠른 속도를 장점으로 높은 명중률을 자랑하며, 발사중량, 탄두중량, 길이 및 사거리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한다. 파괴력은 대전차미사일중 AGM-65 매버릭을 제외하면 가장 강력한 유도무기로 알려져 있다. *AGM-65 매버릭은 탄두중량만 비교해 봐도 헬파이어 대비 최대 10배 이상이며, 이러한 과도한 중량으로 헬기 탑재 불가 주요 제원으로는 총 길이 1.63~1.8m (A/K/M/N 1.63m, L 1.76m,..

밀리터리/화력 2024.11.07

(유도무기) Stingray, 영국, 경어뢰

영국의 GEC Marconi에서 개발한 음향 유도식 경어뢰로, 영국해군이 미국산 어뢰 운용으로부터 기술자립을 위해 기발 되었다. 영국해군이 1950년대에 운용하던 미국의 Mk.30 항공어뢰는 적 잠수함의 기술발달에 따라 소음이 감소하는 추세로 자연스럽게 도태되었다. 이후 1960년대에도 미국산 Mk.44를 사용하였고, 미국산 어뢰에 대한 기술의존도를 개선하기 위해 1964년 NASR 7511 프로젝트를 착수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1970년대 제식명칭이 Sting Ray인 경어뢰 개발에 성공하였다. 당시 영국은 미국산 어뢰로부터의 기술자립을 넘어 다양한 신기술 적용을 시도했다. 추진 측면에서, 개발과정 중 어뢰의 항력계수를 줄이기 위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탱크를 탄두 뒤에 탑재하려는 계획이 있었으나, 추진..

밀리터리/화력 2024.11.05

(유도무기)Sea Venom, 영국, 공대함/공대지

유럽종합방산업체인 MBDA(Airbus, BAE, Leonardo 합작사)에서 개발한 경량 대함미사일로, 영국해군에서 운용 후 퇴역한 Sea Skua 및 프랑스해군의 AS 15 TT 미사일의 대체전력으로 개발되었다. 탑재플랫폼은 프랑스해군의 Panther(AS565), H160M, NH90 및 AW-159(Wildcat) 헬기이며, 2017년 6월 AS365 Dauphin에서 첫 번째 시험발사를 시도하였고 시험은 성공적이었다. 이전에 운용한 미사일 시스템과 체계통합측면에서 공유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Sea skua 미사일 등 기존 전력을 자연스럽게 대체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경량 대함미사일과 같이 소형급 전력을 타격할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50~500톤급 적 고속정 타격 및 Corve..

밀리터리/화력 2024.10.31

(유도무기) Sea Skua, 영국, 대함미사일

1975년 영국 Westland사에서 개발한 공대함(ASM)/공대지(AGM) 미사일로 주요 운용플랫폼은 헬기로 알려져 있다. 개발 당시 영국 해군의 주요 전력인 Lynx헬기의 무장으로 운용되었고, 2017년 노후화로 인해 영국해군에서 완전 퇴역하고, 이후 전력공백을 대체할 후속전력으로 Sea Venom 미사일을 개발 중이다. 무게는 약 145kg이며, 이중 탄두중량 약 30kg를 차지하고 있다. 링스헬기 기준, 동체의 좌우로 배치된 파일런(일종의 미사일장착대)에 2발씩 최대 4발까지 탑재가능하다. 운용가능 사거리는 15km로 알려져 있지만, 최대 24.9km까지 가능하며, 순항속도는 마하 0.8(아음속 비행)이다. 또한, 총길이 2.5m, 직경 0.25m, 윙스판 0.75m에 반능동 레이더유도방식을 채택..

밀리터리/화력 2024.10.30

(발사대) Mk.57 PVLS

1. 개요- PVLS(Peripheral Vertical Launch System), - 줌왈트급 탑재(4셀x20세트), Mk.41대비 가스통제시스템 업데이트로 Mk.41의 개량형 - 레이시온 개발, Mk.41에서 운용이 어려운 추진력 및 탑재량이 향상된 신규 미사일 발사허용 - 대공전, 대잠수함전 미사일 운용,2. 주요사양- 4셀모듈로구성, 4.33(L) x 2.21(W) x 7.93(H)m - 무게:15.24톤 - 캐니스터길이 x 너비: 7.18(L) x 0.71(W) - 탑재가능미사일: RIM-162 ESSM, RGM-109 토마호크, RUM-139 VL-ASROC

밀리터리/화력 2023.12.09

(유도무기) 천무, 다련장로켓

- 제식번호 K-239, 국산 다련장로켓으로 기존 K-136 다련장로켓 구룡 대체목적으로 개발, 군단급 운용 - 발사차는 K239L, 탄약차는 K239T - 하이마스(HIMARS) 다련장로켓과 유사한 기능을 갖추고 최대 300km 떨어진 목표물 공격가능 - M270 MLRS(궤도형)와 달리 차륜형 채택 - 국산 무기 최초로 유압실린더가 아닌 전기식실린더 적용, 디지털 제어시스템 적용으로 고각과 방위각 동시구동 가능 - 사격반응시간이 93초 -> 16초로 줄어듬, 발사후 재장전 160초 (M270 MLRS 재장전 260초) - 한국형 킬체인 시스템의 주요 타격체계로 사격통제장치에는 유도로켓 사용을 위해 GPS 연동기능 및 신호정보 연동장치 탑재 - 전장환경/상황에 따라 탄종류 변경이가능 - 주요 운용 가능..

밀리터리/화력 2023.12.09

(유도무기) 현무, 탄도-순항미사일

현무계열 미사일은 북한 및 주변국 핵심 억제수단으로 국산미사일의 끝판왕 현무-I~현무 V(가칭)까지 다양한 미사일 라인업이 있으며, 현무-III를 제외한 모든 미사일은 탄도미사일 1. 현무-I- 탄도미사일(근거리탄도미사일)로 트레일러 이동방식으로 운용 - MGM-1K 현무-I, 현무시리즈 중 최초 실전 배치된 탄도미사일, 180km급 지대지 탄도 - 종말 속도는 마하 3 정도로 현재 전량 퇴역 - 외형은 나이키 허큘리스(미국) 지대공/지대지 미사일 베이스, 현무는 지대지만 가능 2. 현무-II- 탄도미사일, A> B> C 순으로 사거리 단계적 향상, 탄두중량 0.5톤, CEP는 1~5m - 외형은 러시아제 이스칸다르 미사일과 유사, 발사차량 직접탑재 후 이동, 차량당 1개 탑재 - 캐니스터 보관방식 *캐..

밀리터리/화력 2023.12.09

(유도무기) 해궁, 함대공미사일

- 함대공 미사일, 단거리, 20km 이내, SAAM-400K - 개발업체는 LIG 넥스원 - RIM-116 RAM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유도탄 - 터렛방식의 RIM-116 발사대의 한계를 VLS 플랫폼으로 극복 - 길이 3.08m, 직경추정불가, 마하2이상 - 발사플랫폼은 KVLS(정확히는 단축형 KVLS인 Mk.48 VLS, Mk.56 VLS에 대응) *KVLS 신형 수직발사대의 기본운용단위는 4셀이며, SAAM 전용 수직발사대는 1/4공간을 차지하므로, 최소 16발씩 탑재 가능한 것으로 추정- 시스키밍 표적 등에 대한 요격능력 보유 - 최소 사거리는 VL-MICA(프랑스)와 비슷할 것으로 추정, VLS 특성상 500m 가량 - RF 탐색기와 IIR 탐색기를 같이 사용하는 듀얼 시커 방식 적용, 초..

밀리터리/화력 2023.12.09

(유도무기) 해룡, TSLM(Tactical Surface Launch Missile)

1. 주요개념- LIG넥스원에서 개발한 함대지 순항 유도탄으로 다른 유도무기에 비해 정비요소가 많은 것이 특징 * 미국의 토마호크가 대표적인 순항 미사일 이며, 공중/지상/잠수함 발사 순항미사일로 구분 * 순항유도탄: 적의 레이더를 피해 초저공 비행이나 우회항행을 할 수 있는 미사일로 제트엔진을 가지고 사전에 입력된 자료를 바탕으로 컴퓨터에 의해 비행- 해성 대함미사일 기반의 함대지 미사일로 사거리는 250km 가량 - 해성 대함미사일에서 능동레이더 탐색기를 제거한 공간에 연료와 탄두 장착 - 정확도는 상대적으로 떨어지며, 적 지대함 미사일, 상륙저지병력 등 전술적 목표(적 레이다 사이트, 해안포기지, 적지상군 병력/장비)의 긴급타격 - KVLS, 해성 함대함 미사일 발사관인 경사형 발사대와 호환 가능 ..

밀리터리/화력 2023.12.0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