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89

(수중유도무기) 청상어(K-745), 경어뢰

국산 경어뢰인 청상어급 어뢰는 대함 및 대잠 공격이 가능하며, 운용플랫폼은 초계함급 이상의 함정, 대잠 해상작전헬기, 해상초계기 등이다. 추적센서는 Fire & Forget 방식으로 발사 후 수중에서 타겟까지 어뢰자체의 센서를 이용하여 이동한다. *Fire & Forget 발사(Fire) 후 망각(Forget), 미사일이나 어뢰 발사 후 목표물까지 탑재된 센서를 가지고 추적하며, 발사체에 신경 쓰지 않아도 타겟을 자동 추적하여 명중하는 방식으로 F&F라고도 함. 발사 후, 발사체와 상관없이 플랫폼은 어디로든 이동이 가능하므로 생존율이 높아짐 청상어 개발 기술은 미국 Honeywell 사와 공동으로 개발한 한국형 경어뢰(K-744)에서 많은 아이디어를 얻었다. * K-744 미국의 Mk.44 경어뢰를 천해..

밀리터리/화력 2023.03.01

(유도무기) SM, Standard Missile, 스탠다드미사일

미 해군에서 개발하고 운용하는 스탠다드미사일 SM은 우리 해군에서도 운용하는 함정 기반 대표적인 대공 요격 미사일이라고 할 수 있다. 스탠다드미사일은 Talos, Tartar, Terrier로 구분되는 일명 3T 시리즈 대공미사일 개발로부터 시작된다. 2차 세계 대전 당시, 대공전은 미사일보다 함포가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당시 기술로 함포로 대공전이 가능할 리 만무하였고, 명중률 또한 절망적이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미국 또한 2차 세계 대전을 겪으면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인식하였고, ‘범블비 작전’이라는 프로젝트하에 대공미사일 3T 시리즈를 개발하게 되었다. + Talos 당시 소련 폭격기 등 대형항공표적을 대상으로 설계된 미사일이며, 4톤에 가까운 중량과 큰 사이즈로 인해 ..

밀리터리/화력 2023.03.01

(발사대) 수직발사대, VLS, Vertical Launching System

수직발사장치인 VLS는 함정 혹은 잠수함에서 미사일을 저장하고, 발사하는 장치이다. 발사대에 미사일 1개가 들어가는 모듈을 셀(Cell)이라고 부르며, 국내 구축함급 수상함정에서는 이렇게 모듈형태로 된 발사대를 함수/미에 나눠 선체 안쪽에 탑재한다. 잠수함은 수직발사대가 별도의 모듈로 되어있는데, 함의 크기, 운용미사일 종류에 따라 국가마다 다양하게 운용한다. SLBM(Submarine Launched Ballistic Missile)이라는 명칭은 잠수함에서 발사하는 탄도미사일이라는 의미로, 탄도미사일은 주로 수직발사장치로 발사하기 때문에 SLBM이라고 하면 거의 잠수함에 장착된 수직발사대를 사용한다고 보면 된다. 육상에서 발사하는 일반적인 미사일이 각도를 가지고 발사되는 방식과 달리, 수직발사대는 Ce..

밀리터리/화력 2023.03.01

(상식) 컨테이너 규격과 분류

ISO에서 규정하는 International Standard Container는 ISO668에 따라 정의하며, 선박, 철도 및 차량에서 운용할 수 있도록 수치가 정형화되어 있다. 최초의 컨테이너 표준화는 1961년 미국표준협회(ASA)에서 컨테이너의 폭과 높이를 8피트, 길이를 10피트로 정리함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10피트, 20피트, 30피트, 40피트로 4가지 규격을 정하였다. 이 규격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 따라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국제표준으로 공식화되었고, 컨테이너 운송을 위해 컨테이너마다 BIC 코드를 부여하는 것으로 규격 표준화를 완성하였다. 컨테이너의 역사에 대해서는 아래의 링크에 상세히 정리되어 있다. (상식) 컨테이너 역사과거 세계화를 통한 자유무역의 확대, 국가 간의 관세 감소,..

(재료기초) 강화플라스틱, Reinforced Plastics, FRP, GRP

우리가 흔히 아는 플라스틱은 가벼우며, 여러 가지 모양을 다양하고 손쉽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열과 충격에 매우 약한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신소재 연구가 진행되었고, 유리섬유나 탄소섬유 등을 보강재로 사용하여 플라스틱을 강화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렇게 강화된 플라스틱은 보강재의 종류에 따라 FRP, GRP 등으로 분류하게 되었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섬유강화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 강화 플라스틱 중, 섬유의 재질을 이용하여 제작한 플라스틱으로 섬유강화플라스틱은 2종류로 구분이 된다. 1)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GFRP, Glass-fiber Re..

(헬기) V-22 (Osprey 오스프리), 미국, 벨+보잉

V-22 오스프리는 벨과 보잉이 개발한 틸트로터 방식의 수송헬기이다. 일반적인 수송헬기의 느린 속도와 고정익 수송기의 착륙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한 기체로, 육해공 전분야에서 다목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개발배경 1930년대, 틸트로터 기체는 본격적으로 관심을 받기 시작하였는데, 고정익+회전익의 임무를 동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첫 틸트로더기인 XV-3은 성능 미달과 기술적 문제로 개발이 중단되었다. 이후 끊임없는 기술적 한계에 봉착하여, 개발이 매우 더디게 되었다. 1970년대에 이르러 NASA와 벨헬리콥터가 함께 개발한 XV-15 틸트로터기가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1981년 미국 JVX 프로그램 계획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JVX: Joint-service..

밀리터리/공중 2023.02.19

(상식) 컨테이너 역사

과거 세계화를 통한 자유무역의 확대, 국가 간의 관세 감소, 그리고 FTA를 통한 시장개방 등을 통해 우리의 지금, 해외직구는 너무나 자연스러운 구매방법으로 자리 잡았다. 국제물동량이 늘어난 만큼, 당연히 화물을 나르는 운송수단이 발달하였고, 그중 컨테이너 선박은 더 많이 더 빠르고 더 안전하게 우리의 상품을 나르기 위해 빠르게 대형화되었다. 컨테이너선이 대형화되는 추세에도, 컨테이너 선박에 실리는 우리의 상품은 국제규격에 맞춰진 표준 컨테이너에 적재되어 선박에 선적되는데, 이 규격만큼은 철저하게 국제규격에 맞게 제작된 컨테이너를 사용하게 된다. 컨테이너(Container)라는 영어 어원은 그릇, 즉 무언가 담을 수 있는 용기를 뜻하는 말이지만, 우리나라에서 컨테이너라고 하면 선박, 기차, 혹은 차량에 ..

(USV) 튀르키예 최신 USV 모델 4종

1. ULAQ튀르키예 최초의 무장무인수상함(AUSV, Armed USV) 프로토 타입ARES Shipyard와 Meteksan Defense Systems의 합작으로 개발된 터키 최초의 무장 무인수상함으로, 2020년 8월 설계를 완료 하고, 10월 대중에게 최초 공개되었다. 프로토타입은 2021년 공개되었고, Roketsan의 유도미사일 목표물에 정확히 명중하는 발사시험에 성공하였고, 22년 이후 대량생산 진행중이다. 기본적으로 전투함에 탑재가 가능한 사이즈이며, 지상 지휘센터 및 해상플랫폼에서 원격제어가 가능하다. 주요 임무는 감시/정찰, 전자전, 지상전, 비대칭전, 호위, 대잠전 및 기뢰전까지 다양하고, 임무에 따라 탑재 모듈을 변경하여 해당 임무에 최적화 될 수 있도록 설계 되었다. Sea Sta..

밀리터리/무인 2023.02.18

(센서) SAR, Synthetic Aperture Radar, 합성개구레이더

EO(전자광학)/IR(적외선) 카메라, SAR(합성개구레이더)는 저궤도위성과 무인항공기에 주로 탑재되어 사용되는 센서이다. EO/IR은 영상정보를 중심으로 한 직접적인 정찰/감시 센서이며, SAR은 공중에서 지상/해양을 관찰하는 능동 센서 레이더라고 할 수 있다. SAR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긴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물체를 탐지하며, 이런 원리 덕분에 주/야간 전천후 지구 표면 탐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원리는 지상/해양을 향해 공중에서 레이더파를 순차적으로 발산한 이후, 레이더파가 굴곡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미세한 시간차를 처리하여 지상지형도 등 영상을 만들거나 지표를 관측한다.수중에서는 전파를 사용하는 지상과 달리 음파를사용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합성개구소나, SAS(Synthetic Aperture ..

밀리터리/센서 2023.02.16

(상식) FOMC(미국연방공개시장위원회)

FOMC (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12명으로 구성되는 연방준비제도(FRB) 산하의 위원회이다. 연 8회의 정례회의를 갖고, 미국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기관 으로 알려져 있다. FOMC는 미국 정부의 금융 정책을 결정하는 최고 의사결정 기관이며, 공개시장활동을 감독하여 국가통화정책의 중요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FOMC 위원 구성 미국의 중앙은행이라 할 수 있는 FRB(연방준비제도)의 이사 7명과 지역별 연방준비은행 총재 5명으로 구성 되며, 정기적으로 약 6주마다 연 8회 회의를 개최하며, 필요에 따라 수시로 개최하기도 한다. 위원장은 FRB의장, 부의장은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이다. 보통 성명은 FOMC 최종 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