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89

(상비약) 판콜에스 성분, 효과, 가격, 주의사항

최저기온과 최고기온의 일교차가 20도가 넘는 요즘 많은 분들이 감기몸살로 고생하실 텐데요. 감기몸살은 무조건 초기에 잡는 것이 중요합니다. 초기에 잡지 않고 방치해 둔다면, 3일~일주일 가량 고생할 것을, 길게는 2~3주까지 고생하실 수도 있습니다. 특히, 요즘은 실내마스크까지 자율적이기 때문에, 코로나 이외에 독감이나 다른 감기로 컨디션을 뺏길 수도 있기 때문에 개인 건강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할 시점이 아닌가 싶네요. 오늘은 제가 집에 감기몸살 상비약으로 두고, 감기초기에 자주 복용하는 '판콜에스'에 대해 말씀드려 볼까 합니다. + 판콜에스 1. 동화약품(부채표)의 제품, 30ml 병에 담긴 종합감기약 2. 판콜에스는 붉은색 박스로, 약국에서만 구입 가능 3. 1개 박스당(5 병입) 3천 원 안쪽으로 ..

일상/헬스케어 2023.03.31

(호위함) Type-26, 영국해군, 밥콕+탈레스

Global Combat Ship으로, 영국 23형 호위함을 대체하기 위한 차세대 호위함 이다. 함명을 도시에서 가져와서 City class 호위함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도입배경 1998년 Future Surface Combatant(FSC) 라는 프로젝트로 시작하여 현재와 같은 모습을 갖추게 되었고, 미래형 수상함 개발에 방향성을 맞춰 개발하기 시작하였다. 2000년 이후 통상적인 함 선형을 선호함에 따라, 대잠전 수행 목적인 C1, 가볍고 다목적임무를 지향하는 C2로 분류하여 개발을 진행하게 되었다. 2015년 획득 대수가 감소하면서 설계(안)이 개선되었고, 대형 호위함(배수량 8,000톤, 전장 150m)으로 최종 개발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 주요특징 6..

밀리터리/해상 2023.03.25

(밸브) Globe valve, 글로브밸브

배관 관련 업무를 처음 시작하면 다양한 밸브를 적재적소에 배치해야 하는데, 밸브의 종류와 쓰임새를 몰라 당황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밸브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Globe valve는 구상의 몸통 안에 격벽이 있고, 디스크를 Body Seat 면으로 상하로 움직여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이다. + 특징 1) Gate Valve에 이어 배관용에 널리 사용되는 밸브 2) 조절 밸브로 대부분이 Globe Valve를 사용하며, 고압에 강하고, 유량조절용으로 사용 3) 디스크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유량 특성을 가짐 +분류 Globe valve는 구조적 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3가지로 구분한다. 1) T형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태로 disc가 seat 오리피스(orifice)에 대해 수직으로 운동하는 Glob..

(헬기) CH-47,Chinook(치누크)

미국 보잉사에서 제작한 텐덤로터방식의 수송헬기이며, AH-64 아파치, UH-60 블랙호크와 함께 미 육군 3대 헬기 중 하나이다. 생존성, 안정성 및 신뢰성이 우수하고, 현재까지 업그레이드를 통해 꾸준히 생산하는 미국 헬기의 스테디셀러 라고 할 수 있다. + 도입배경 개발역사는 피아세키 헬리콥터에서 시작 1952년 피아세키 헬리콥터에서 제작한 H-21(Flying Banana, 텐덤로터방식) 첫 비행 1955년 피아세키 헬리콥터가 Vertol사에 흡수합병됨 1956년 V-107 제작, 1958년 첫 비행 실시, V-107은 CH-46/47의 원형이 됨 1959년 부족한 수송능력을 보완하여, 동체가 확장된 모델 V-114 모델 채택, 61년 첫 비행 성공 1962년 CH-47A로 명명되어 미 육군 도입 ..

밀리터리/공중 2023.03.25

(상륙함) 천왕봉급, LST-II

대한민국 해군의 LST-II사업(차기상륙함사업)을 통해 전력화된 함정이다. 2014년 11월 시제함인 천왕봉함(한진중공업 건조) 인도를 시작으로 천자봉, 일출봉, 노적봉함이 차례로 전력화되었으며, 2~4번 함은 현대중공업에서 건조하였다. LST(Landing Ship Tank)는 일반적으로 해안에 직접 접안하여 직접 상륙전력을 양륙 하는 것이 특징이며, LST-I은 실제로 이러한 기능이 잘 반영되어있다. 하지만, LST-II는 모함이 직접양륙하는 것이 아닌, 함수데크에 탑재된 LCM(Landing Craft Mechanized) 2대, 함미 Well Dock에 탑재된 LCM 1대, 총 3대의 LCM을 활용하여 대량의 상륙 전력을 해안가로 수송한다. 따라서, 함형으로만 판단했을 때는 사실 LST 보다는 L..

밀리터리/해상 2023.03.16

(센서) 소나, Sonar, 음향탐지기

수중에서 적 세력을 감시/정찰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유사시에 위협세력을 타격할 수 있는 주요 전력은 잠수함/정, 무인잠수정 그리고, 이러한 플랫폼들이 탑재하는 어뢰, 기뢰 등이 있다. 수중전력은 은밀성을 장점으로 임무를 수행하는데, 은밀 기동을 위해 필수적인 것이 바로 수중 지형과 적 세력을 탐지하는 “잠수함의 눈” 소나이다. 소나란 수중에서 음파를 이용하여 수중 적 세력 혹은 해저 지형을 탐지하기 위한 장치로, Sound Navigation And Ranging(SoNAR)의 약자이며, 한국어로는 음향탐지기(음탐기) 혹은 음파탐지기라고 부른다. 소나는 기본적으로 전달 매질인 물에 소리를 파동의 형태(주파수)로 발산(능동소나)하고, 돌아오는 음파의 형태를 분석해서 수중지형이나 물체를 확인하며, 플랫폼 음..

밀리터리/센서 2023.03.13

(식재료) 좋은 달걀, 신선한 달걀고르기

어쩌면 우리가 매일 먹는 음식에도 들어가고, 하루에도 몇 번씩 식탁에 올라오는 달걀은 영양가가 매우 풍부한 식재료로, 그 쓰임새에 따라 정말 다양한 요리에 이용된다. 달걀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듯, 사전적 의미는 닭이 낳은 알이다. 우리 인간이 언제부터 먹어왔는지 그 유래가 어떻게 되는지 모를 정도로 오랫동안 먹어왔다. 가금류로 분류되는 닭은 우리의 조상들이 집에서 혹은 집 주변에서 기르면서 매일 신선한 달걀을 얻어내 왔고, 그래서 지금까지 우리에게 매우 친숙한 식재료로 이어져 온 것 같다.HTML 삽입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 신선한 달걀 고르기 그렇다면 매일 먹는 달걀, 신선하고 좋은 달걀은 어떻게 골라낼까. 1) 흔들었을 때, 움직이고 출렁거림이 없어야 함 2) 소금물에 담갔을 때, 옆으로 잘 누..

일상/음식 2023.03.11

(UAV) UAV 형태별 특징

UAV는 이착륙 형태에 따라 크게 고정익, 회전익, 그리고 틸트로터와 같은 혼합형으로 구분한다. ** 틸트로터: 이착륙 시 수직으로 기동 하고, 일정 고도에서 로터를 90도 회전하여 고정익프롭기와 같은 형태로 비행하는 항공기 *틸트로터기의 대표 기종인 오스프리 참조 (헬기) V-22 (Osprey 오스프리), 미국, 벨+보잉 V-22 오스프리는 벨과 보잉이 개발한 틸트로터 방식의 수송헬기이다. 일반적인 수송헬기의 느린 속도와 고정익 수송기의 착륙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한 기체로, 육해공 전분야에서 다목적으 offspring163.tistory.com + 고정익형 1) 고속 기동이 가능하며, 장거리 비행에 유리 2) 육상에서는 활주로를 주로 이용하며, 소형의 경우 발사대를 이용하여 이륙 3) 함상에서는..

밀리터리/무인 2023.03.11

(센서) 합성개구소나, SAS(Synthetic Aperture Sonar)

합성개구레이더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되는데, 레이더 대신 소나를 이용하여 수중환경에서 다수의 음향 Ping을 수집한다. 다수의 음향 Ping을 쏘는 것이 특징이며, 수집한 다수의 음향 데이터를 분석, 결합하여 매우 정교하게 처리한 뒤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구현한다. 일반적으로 잠수함에서는 SSS(Side Scan Sonar)를 사용하여 해저 지형을 탐색하고 영상으로 구현하는데, SAS 합성개구소나는 SSS 대비 10배 정도 좋은 해상도의 이미지 구현이 가능하다고 한다. +작동원리 수중 소나의 경우 트랙에 따른 방위각 해상도는 음향 파장과 배열 길이 사이의 비율로 계산이 가능하다. 일반적 SSS 경우 비율이 1:60(60m 범위에서 1m 해상도) ~ 1:400 정도의 해상도를 가지며, 소나 배열 길이가 ..

밀리터리/센서 2023.03.11

(수중유도무기) 백상어(K-731), 중어뢰

대한민국이 처음으로 개발한 어뢰이며 직경이 19인치로, 21인치 중어뢰 발사관에서 운용가능하다. ADD와 LG정밀(LIG넥스원)이 8년에 걸쳐 개발하였고, 1998년 개발완료하여 209급 잠수함, 돌고래 급 등에 탑재하여 운용했으며, 양산은 2004년 시작했다. 국산 중어뢰인 백상어(K-731)는 최초 한국해군 운용 잠수함인 돌고래급의 주요 무장으로 개발되었는데, 당시 낮은 기술력으로 인해 잠수함의 발사관을 21인치까지 제작해내지 못했고, 결국 크기에 맞는 19인치 어뢰를 개발했다는 뒷 이야기도 있다. Fire & Forget 방식으로 발사되며, 수동/능동 소나를 조합한 음향 탐지장치, 완전한 디지털 유도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다. 직경은 19인치(483mm), 길이 6m, 중량 1.1톤, 사거리 30km..

밀리터리/화력 2023.03.0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