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 89

(잠수함) 버지니아급(Virginia class), 미국

로스엔젤레스급 잠수함의 후속 모델로 시울프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과 연안작전에 특화된 잠수함이다. 최대전술속도(소음을 억제하면서 항주가능한 속도)는 20노트이며, 조류환경에서 호버링을 유지하는 등, 인치 단위 잠수함 이동이 가능하다. 버지니아급 잠수함은 냉전시대가 종결되면서 대양 작전보다는 적국 연안에서 작전 가능한 잠수함이 필요함에 따라 소요가 제기 되었다. 로스엔젤레스급 후속으로 개발한 씨울프급이 상당히 고가였기때문에, 저렴한 잠수함 개발 필요한 점도 한 몫 했다고 볼수 있다 . 버지니아급 잠수함의 개발 중 특징으로는 컴퓨터설계기술(ex, CATIA)을 이용한 최초의 잠수함으로 설계비용, 목업비용을 절감하고, 모듈화를 통해 정비 비용 절감했다는 점이다. 지금은 당연하게 활용하고 있는 Tool..

밀리터리/해상 2023.02.16

(UAV) 무인항공기 운용 장단점

1. 무인항공기의 운용의 장점 + 높은 경제성 비용대 효과 측면에서 볼 때 낮은 설계수명 적용이 가능하여 획득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고, 훈련 등에 드는 운용 시간 감소로 운영유지비를 절감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약 30여 년간 운영되는 군용 항공기는 파일럿의 안전과 장기간의 운용을 위해 10,000시간 전후의 항공기 운용 시간을 필요로 하는데, 이를 위해 항공기 기체, 구조, 안전장치 등 다양한 요소가 설계부터 감항인증을 획득하기까지 철저하게 관리된다. 소모품처럼 제작 가능한 무인항공기는 우선 생산단가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으며, 파일럿의 신체 능력과 관계없이 설계가 가능하다. 무게, 크기, 날개 등 항공역학적으로 유리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유인항공기에서 가질 수 없는 상대적으로 낮은 레..

밀리터리/무인 2023.02.15

(UAV) 무인항공기 운용지원 요소

무인항공기는 UAV(Unmanned Aerial Vehicle) 또는 UAS(Unmanned Aircraft System)로 정의된다. 공중이라는 개념이 갖는 넓은 전장과, 지상과 해상을 아우르는 입체 작전이 가능한 점을 미루어 볼 때, 무인항공기는 향후 미래 전장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들어 무인전력이 화두가 되고 있는 이유는 인간이 수행하던 3D 임무를 대체하려는 목적도 있지만, 인구감소에 따른 국방 전력 공백을 빠르게 대체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술자료에서는 유인전력과 무인전력을 1:1로 단순 비교하여 대체가능한 전력이라는 초점이 맞춰져 있을 뿐, 구체적인 운용인원과 정비, 지원요소에 대해서는 상당히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MQ-9 Reaper를 예로..

밀리터리/무인 2023.02.15

(항공모함) 사출기(Catapult) 분류

항공모함 사출기는 에너지원에 따라 분류하며, 발전 역사에 따라 작동방식은 아래와 같이 5가지로 구분한다. 1) 공기식 최초의 Catapult에 사용된 방식이며, 압축공기를 가득 채워 피스톤을 밀어내고, 피스톤이 밀려가는 만큼 레일에 장착된 걸쇠가 함께 밀려 항공기를 가속시킨다. 오래된 방식으로 크기에 비해 성능이 그다지 좋지 않아 빠르게 도태되었다. 하지만, 소수의 함재기에 대해서는 모함에 큰 하중이 전달되지 않으면서 가속시키는 것이 가능했기 때문에 2차 대전 중 일본의 경순양함, 잠수항모에서 활용되었다. 2차 대전 중 활동한 가장 큰 잠수항모인 센토쿠급 사출기는 5톤의 사출능력을 가지고 있었다고 하며, 압축공기 재충전에는 4분 정도 소요된다고 알려져 있다. 2) 화약식 실용 사출능력은 5톤 정도이며, ..

밀리터리/해상 2023.02.15

(항공모함) 전자식 사출기, EMALS, ElectroMagnetic Aircraft Launch System

EMALS는 General Atomics에서 개발한 신형 항공기 발사 시스템으로 기존에 증기식 대신 선형유도모터(LIM)를 사용하는 사출기로 항모에 설치하여 운용하는 것이 목적이다. Gerald R. Ford급 항모에 처음으로 설치되어 현재 운용 중이다. 항공기를 가속시키기 위해 전자기레일건과 유사한 접근방식 활용하며, 30%의 추가 에너지 여유율을 가지고 운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증기식 사출기 대비 배관, 펌프, 모터, 제어장치 등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공간 활용성이 우수하다. 또한, 자체고장진단 시스템이 탑재되어 기존 증기식 대비 소요 인원이 대폭 절감되었다. 91m(300피트) 길이의 EMALS는 45톤(100,000파운드) 항공기를 240km/h(130노트)로 가속시킬 수 있으며, 시간은 3초가량 ..

밀리터리/해상 2023.02.15

(항공모함) 항공모함의 항공기 이착함

2차 세계 대전부터 지금까지, 역사상 가장 강력한 무기인 항공모함은 전투 시 항공전력을 주요 수단으로 삼는 함정이며, 항공기는 ‘함에 탑재한다’는 의미에서 함재기라고 부른다. 따라서, 항공모함의 전투력은 함재기의 수량과 정해진 시간 안에, 함재기가 얼마나 많이 임무에 나갈 수 있느냐에 따라 평가된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항모의 주전력인 항공기는 얼마나 강력한 무기를 탑재했는지, 얼마나 많이 무기를 탑재했는지 등 탑재 무장도 중요하지만, 역시 항공모함에서 뜨고 내리는 역할을 하지 못한다면 무용지물이다. 함재기 자체가 무겁지 않던 과거에는 항공모함에서 함재기가 이륙하기 위해서 그다지 많은 거리가 필요하지 않았지만, 제트전투기가 등장하면서 높아진 중량과 짧은 활주거리를 극복하기 위해 함재기..

밀리터리/해상 2023.02.15

(수소기초) 수소저장 압력용기

수소저장용기의 강도는 수심 15km 깊이 까지, 내구성은 1회/1일로 123년 동안 사용이 가능해야 할 만큼 높은 수준의 안전 기준이 요구되며, 인증 조건 또한 매우 까다롭다. 수소저장용기는 기체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저장(고압수소저장용기) 하거나 혹은, 액화상태로 냉각해서 저장(액화수소저장용기) 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1) 고압수소저장용기 (Compressed Hydrogen Storage, CHS) 기체 상태인 수소를 350 bar 혹은 700 bar의 고압으로 압축해 저장하는 방식 CHS방식 저장용기는 연료탱크인 Liner 재질, 구성요소 및 강도에 따라 4가지 타입으로 구분한다. +Type 1. 강철로만 이루어진 연료 탱크 +Type 2. 강철로 제작된 연료탱크 바디 부분에 일부 유리섬유를 적..

(수소기초) 수소밸류체인

경영학에서 사용하는 밸류체인(가치사슬)이란 기업이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해 부가가치가 생성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즉, 제품의 연구개발, 디자인, 생산 및 조달, 가공, 제조, 마케팅, 판매 및 관리, 마지막 A/S까지의 모든 과정이다. 이렇듯, 어떤 제품이나 산업군의 밸류체인을 파악하고 있으면, 제품이 탄생하게 되는 과정, 그리고 필요한 연구개발, 부품과 장비를 만드는 기업들까지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렇다면 수소경제를 이루는 수소밸류체인은 어떨까. 수소밸류체인은 크게 5단계로 구분한다. 생산을 시작으로 저장, 운송, 충전 마지막으로 활용이다. 1) 생산 수소의 생산은 그레이수소, 블루수소, 그린수소로 구분하는데, 구분의 기준은 수소 생산과정의 이산화탄소 배출 여부이다. + 그레이수소..

(수소기초) 그린뉴딜과 수소

요즘 기사를 읽다 보면 이상기후로 인한 피해를 다루는 내용이 상당히 많이 등장한다. 여름에 우박이 내린다던가, 겨울이 원래 춥긴 하지만 정말 역대급의 기록적인 한파가 찾아오는 등 지구와 지구상의 생명체는 이상 기후 문제로 모두 상당한 골머리를 앓고 있다. 기후학자들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랫동안 꾸준하게 이상기후에 대한 대비책을 제시해 왔고, 온실가스 절감과 화석연료 대체재 발굴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정치인들도 이상기후 문제를 더 이상 방치하는 것이 아닌, 경제적인 해법으로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정책이나 법안들을 발의하기 시작하였는데, 이를 ‘그린 뉴딜’이라고 부르기 시작하였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우리나라도 꾸준하게 그린 뉴딜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미국, 유럽 등 ..

(동향) 미해군 무인함대(Ghost fleet)

급변하는 미래 해상전장에서 무인전력은 인적자원의 3D 업무를 대신할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향후 시장도 폭발적으로 성장하게 될 것으로 판단되며 이 시장은 미국 중심으로 편성될 확률이 높다. 글로벌 예측기관의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무인수상정(USV) 시장 규모는 2021년 기준, 15억 3000만 달러(약 2조 원)에서 해마다 약 15% 성장하여, 2030년경 에는 41억 300만 달러, 약 5조 원가량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USV의 개발 및 전력배치의 가장 선진국은 단연 미국이며, 2022년 기준 무인수상함정 사단 창설 등을 통해 최종 목표인 무인함대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22년 미 해군 태평양함대인 CNSP는 무인수상함정 1사단(USVDIV)을 창..

밀리터리/무인 2023.01.2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