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경제 기초

(상식) 컨테이너 규격과 분류

버드나무와이저 2023. 2. 26. 18:03
728x90
728x90

ISO에서 규정하는 International Standard Container는 ISO668에 따라 정의하며, 선박, 철도 및 차량에서 운용할 수 있도록 수치가 정형화되어 있다.

최초의 컨테이너 표준화는 1961년 미국표준협회(ASA)에서 컨테이너의 폭과 높이를 8피트, 길이를 10피트로 정리함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10피트, 20피트, 30피트, 40피트로 4가지 규격을 정하였다.

이 규격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 따라 전 세계에서 사용되는 국제표준으로 공식화되었고, 컨테이너 운송을 위해 컨테이너마다 BIC 코드를 부여하는 것으로 규격 표준화를 완성하였다.

오늘날 사용되는 국제표준 컨테이너 규격

 

주요 컨테이너 20피트, 40피트 제원 - vanb.com


컨테이너의 역사에 대해서는 아래의 링크에 상세히 정리되어 있다.

(상식) 컨테이너 역사

과거 세계화를 통한 자유무역의 확대, 국가 간의 관세 감소, 그리고 FTA를 통한 시장개방 등을 통해 우리의 지금, 해외직구는 너무나 자연스러운 구매방법으로 자리 잡았다. 국제물동량이 늘어난

offspring163.tistory.com



1. 10피트 20피트 40피트 40피트H 규격별 크기

10피트 3.05 x 2.44 x 2.59m (LxWxH), 외부치수 기준
20피트 6.09 x 2.44 x 2.59m (LxWxH), 외부치수 기준
40피트 12.18 x 2.44 x 2.59m (LxWxH), 외부치수 기준
40피트 HIGH-CUBE; 40피트 컨테이너 대비 높이방향으로 1피트 증가한 크기


2. 크기에 따른 분류

오늘날 주로 사용되는 컨테이너는 길이에 따라 10피트, 20피트, 40피트, 45피트 컨테이너 정도로 구분하고, 컨테이너의 적재량을 나타내는 TEU단위는 20피트 컨테이너를 기준으로 한다.

따라서, 1 TEU는 곧 20피트 컨테이너 1개가 되며, 2 TEU 자리에는 40피트 컨테이너가 1개 들어갈 수 있다.

앞서 언급했듯, 모든 컨테이너의 폭과 높이는 8피트(2.348m)로 동일하며, 운송의 효율화를 위해 30피트 컨테이너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추가로, 하이큐빅(HC) 컨테이너높이가 8.6피트 이상인 컨테이너로, 9피트, 9.6피트 규격으로 구분된다.

구즈넥 컨테이너 새시가 설치된 운송차량은 하이큐빅(HC) 탑재 시 높이가 4m가량까지 상승하여 도로 상황에 따라 과적에 단속될 수도 있다고 한다.

** 컨테이너 새시
동력이 없는 견인이 필요한 차량이며, Tractor(운송차량)와 Coupler(컨테이너탑재)를 연결하여 운행하고, 차축과 차륜, 스프링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3. 기능에 따른 분류

1) 일반 컨테이너
일반적인 박스형태의 컨테이너로 G코드를 사용하며, 정식명칭은 드라이 컨테이너이다. 잡화류 적재에 활용되며, 통풍장치나 온도조절장치 등은 불필요하다.

2) 통풍 컨테이너
신선식품류인 농산물을 운송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컨테이너로, 측면에 통풍구가 있으며, V코드를 사용한다.

3) 드라이벌크 컨테이너
벌크 화물인 시멘트, 곡류, 석탄 등을 운송하기 위해 활용되는 컨테이너로, 벌크성 자재를 하역하기 위한 특수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B코드를 사용한다.


4) 특수 컨테이너
가축, 자동차, 활어 등을 운반하는 컨테이너로, S코드를 사용한다.
 
5) 냉동 컨테이너
Reefer라고도 불리는 냉동/냉장 장치를 설치한 컨테이너로, 저온 보관이 필요한 화물을 운송하며, 전력은 자체 발전기 혹은 운송플랫폼에서 공급받는다.
R코드를 사용하며, ISO 정식 명칭은 기기부착형 온도 컨테이너 라고 한다.

6) 보온/보냉 컨테이너
단열재가 장착된 컨테이너로, 냉동컨테이너와 다르게 항온 장치는 탈부착이 가능하며, H코드를 사용한다.

7) 오픈탑 컨테이너
컨테이너 상부가 뚫려있는 형태의 컨테이너로, 중량물 수송이 주요 목적이다. 상부 오픈 공간은 캔버스커버나 루프패널로 마감하며, U코드를 사용한다.

8) 플랫폼 컨테이너
컨테이너 바닥과 기둥만 남겨놓은 형태의 컨테이너로, 기둥을 고정하거나, 접는 방식으로 세부 코드가 나뉜다.
컨테이너 규격을 초과하는 대형화물이나, 형강, 강관 등을 운송하는데 주로 사용되며, P코드를 사용한다.

9) 탱크 컨테이너
실린더형의 탱크가 주요 화물운송수단이며, 컨테이너 규격에 맞는 골조가 탱크를 지탱하고 있는 구조이다.
유류 및 액화가스 수송 등에 주로 사용하며, 20피트가 표준규격이며, T코드를 사용한다.
탱크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지게차가 리프팅할 수 있는 구멍이 컨테이너 바닥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4. 국제무역거래

컨테이너 사이즈, 분류와 함께 알아야 할 중요한 해운상식은 바로 국제무역거래 방식이다. 전 세계 물동량의 상당 부분은 컨테이너선박과 같은 해상으로 운송되며, 무역거래방식에 따라 물품의 가격 천차만별이 되기 때문에 반드시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국제무역거래 방식에 대한 내용은 아래의 링크에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상식) 국제무역거래조건 (FOB, CFR, CIF)

오늘날 해외직구(해외직접구매)는 더 이상 어렵거나 낯선 쇼핑방식이 아니다. 우리는 이제 해외 어느 곳의 물건을 편하게 쇼핑할 수 있을 만큼 혁신적인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고, 개별 국가의

offspring163.tistory.com


<참고자료>
https://librewiki.net/wiki/ISO_%EC%BB%A8%ED%85%8C%EC%9D%B4%EB%84%88

ISO 컨테이너

국제표준 컨테이너(ISO container)는 ISO 668에서 규정하는 국제표준 일관운송용기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라 함은 이것을 가리킨다.

librewiki.net


http://www.kortrailer.com/bbs/board.php?bo_table=b31&wr_id=96

40FT 구즈넥 컨테이너 샤시 > 제품소개 | (주)한국특장차

(주)한국특장차 | 대표:이석희 울산시 울주군 온산읍 화산1길 13 / TEL : 052-239-9303~4 울산시 울주군 온산읍 화산로 121-6 / TEL : 052-239-9136 인천시 연수구 벚꽃로 130-3 연수푸르지오1단지 101동 906호 / TEL

www.kortrailer.com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