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말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 당선으로 전 세계 투자자들은 그야말로 신세계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비트코인 반감기와 함께 시작된 코인시장의 열풍은 전 세계 투자자들에게 밤잠을 설치게 할 정도로 뜨거운데요. 오늘은 비트코인과 함께 알트코인의 최강자로 알려진 이더리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우선 이더리움은 단순한 암호화폐를 넘어 스마트 계약과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플랫폼으로 설계된 혁신적인 블록체인 네트워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더리움의 개발배경과 주요 가치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이더리움의 어떻게, 누가 개발했을까요?
이더리움은 러시아-캐나다 프로그래머인 비탈릭 부테린(Vitalik Buterin)에 의해 2013년에 처음 개념이 제안되고, 2015년에 공식적으로 출시되었습니다.
부테린은 비트코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이더리움을 설계했다고 하며, 비트코인이 주로 가치 저장과 결제 시스템에 중점을 두는 반면, 이더리움은 스마트 계약을 통해 다양한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고 합니다.
다음은 주요 개발 역사입니다.
2013년
비탈릭 부테린이 이더리움 백서를 작성. 비트코인의 제한성을 보완하고자 함.
2015년 7월
이더리움 메인넷 프런티어(Frontier) 출시.
2016년
DAO 해킹 사건으로 인해 네트워크가 하드포크되어 현재의 이더리움(ETH)과 이더리움 클래식(ETC)으로 분리됨.
2020년
이더리움 2.0 로드맵 발표, 작업증명(PoW)에서 지분증명(PoS)으로 전환 계획 시작.
2022년 9월
이더리움 2.0 업그레이드(Merge)를 성공적으로 완료.
에너지 소비를 99% 이상 감소시킴.
2. 그렇다면, 이더리움은 어떤 가치를 가질까요?
우선 기술적 가치가 있습니다.
1)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플랫폼
스마트 계약은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래밍 코드로, 금융(DeFi), 부동산, 게임, 의료 등 여러 산업에서 활용됩니다. 예를 들면, 탈중앙화 금융(DeFi) 서비스에서 대출, 스테이킹 등의 프로세스를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2)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DApps)
이더리움은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이는 중개자를 제거하고, 사용자의 프라이버시와 데이터 소유권을 보호하며, 보안을 강화합니다.
3) ERC-20 표준
ERC-20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새로운 토큰을 생성할 수 있는 기술 표준으로 USDT(테더), UNI(유니스왑)등 수많은 암호화폐와 프로젝트의 기반이 되었습니다.
4) NFT(Non-Fungible Token) 시장
이더리움은 NFT(대체불가능한토큰)의 대부분이 발행되는 블록체인으로, 디지털 아트, 음악, 게임 아이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됩니다.
두 번째로, 경제적 가치가 있습니다.
1) 에너지 효율성 향상
지분증명(PoS)으로 전환하면서 채굴에 따른 에너지 소비를 거의 제거하였고, 이는 환경적 가치를 크게 높였습니다.
2) 네트워크 효과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개발자와 프로젝트가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 생태계의 확장은 네트워크의 지속적인 성장을 보장합니다.
3) 유틸리티
이더리움(ETH)은 네트워크에서 거래 수수료(가스비)를 지불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로 인해 ETH의 실질적 수요가 꾸준히 유지됩니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이더리움은 단순히 거래자산으로서의 수단뿐 아니라 다양한 가치를 가지고 향후 코인생태계를 지배하는 코인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래산업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이 예상되는 코인, 투자도 가치를 알고 하면 다 빛날 것 같습니다.
'경제 > 경제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상식) 이더리움(ethereum)의 전망에 대해 (2) | 2024.11.26 |
---|---|
(투자상식) 코인채굴과 유휴전력 소진 (1) | 2024.11.18 |
(투자상식) 비트코인, 과연 가치있을까? (0) | 2024.11.17 |
(투자상식) 장단기 금리역전, Inverted Yield Curve (4) | 2024.11.15 |
(상식) 저평가 주식을 판단하는 지표, EPS, PER, BPS, PBR (0) | 2023.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