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화력

(유도무기) 현무, 탄도-순항미사일

버드나무와이저 2023. 12. 9. 15:07
728x90
728x90

현무계열 미사일은 북한 및 주변국 핵심 억제수단으로 국산미사일의 끝판왕
현무-I~현무 V(가칭)까지 다양한 미사일 라인업이 있으며, 현무-III를 제외한 모든 미사일은 탄도미사일


1. 현무-I

- 탄도미사일(근거리탄도미사일)로 트레일러 이동방식으로 운용

- MGM-1K 현무-I, 현무시리즈 중 최초 실전 배치된 탄도미사일, 180km급 지대지 탄도

- 종말 속도는 마하 3 정도로 현재 전량 퇴역

- 외형은 나이키 허큘리스(미국) 지대공/지대지 미사일 베이스, 현무는 지대지만 가능

현재는 전량 퇴역한 현무-I 형상 및 제원, 국방과학연구소


2. 현무-II

- 탄도미사일, A> B> C 순으로 사거리 단계적 향상, 탄두중량 0.5톤, CEP는 1~5m

- 외형은 러시아제 이스칸다르 미사일과 유사, 발사차량 직접탑재 후 이동, 차량당 1개 탑재

- 캐니스터 보관방식

*캐니스터에 질소 or 아르곤 같은 비활성 가스를 넣고 밀봉한 상태로 미사일을 보관하며, 10년 이상 정비 불필요

- 사거리가 가변적인 미사일이며, 궤도정점인 45~50km 이하 고도에서 A형 기준 300km까지 사거리가 나올 것으로 추정

러시아 기술자문 영향으로 비행궤도를 중간에 변경하는 기술로 유추

- 미사일 내 디코이가 탑재되어 적 미사일요격으로부터 생존성 향상

- 제작사는 한화

- 현무-IIA(단거리, 300km)

- 현무-IIB(단거리, 500km): 탄두 1톤, 사거리 300km 버전 탄두 2톤까지 가능, 최고속도는 마하 7, 단일관통형 고폭탄두로 추정

- 현무-IIC(준중거리, 800~1,000km): K501(TEL, 이동형 미사일발사대)이 선적된 바지에서 발사된 영상이 공개됨

현무-II 탄도미사일 제원, 노컷뉴스


3.  현무-III

- 순항미사일

- 현무시리즈 미사일중 유일한 순항미사일, 탄도 0.5톤

- 유도방식: INS(관성항법), GPS, TERCOM, DSMAC, 육군 미사일전략사령부에서 운용

- 육군: 현무-III, 해군: 해성-II(함대지), 해성-III(잠대지)

- 순항미사일이기 때문에 탄도미사일 대비 속도는 느리지만, 아군 수상함, 잠수함이 적기지 근처 반경에서 운용한다면 매우 유용하게 대응 가능

탄도미사일은 고고도로 올라가기 때문에 속도는 빠르지만 노출 위험이 큼

- 현무-IIIA(단거리), 500km

- 현무-IIIB(준중거리), 1,000km

- 현무-IIIC(준중거리), 1,500km

- 현무-IIID(준중거리), 3,000km


4.  현무-IV

- 탄도미사일

- 현무시리즈 미사일의 신형모델로 2020년 개발 완료

- 강화콘크리트 관통능력은 24m 수준으로 추정되며, 현존 벙커버스터 중 GBU-28의 관통력보다 약 6m 정도 큰 위력

관통능력으로만 볼 때 GBU-57 <GBU-28 <현무-IV 순으로 추정

- 중량물의 탄두무게를 감당하기 위해 2단 로켓 적용, TVC(추력편향노즐), RAM(스텔스도료, 저피탐 설계등 신기술 적용

- 외기권(500~1,000km 고도)까지 상승 후 운동에너지를 이용해 마하 10 이상의 속도로 하강하는 것으로 설계

표적 명중 시 위력은 전술핵 수준 TNT 1kt 정도로 추정

- 현무-IV-1(지대지, 단거리), 800km, 탄두 2.5톤 이상 추정

- 현무-IV-2(함대지, 단거리), 500km, 탄두 1톤 이상 추정

- 현무-IV-4(잠대지, 단거리), 500km, 탄두 1톤 이상 추정


5.  현무-V(가칭)

- 탄도미사일(준중거리, 단거리), 고위력 현무 탄도미사일

- 사거리 300~3,000km로 추정, 탄두중량 최대 8~9톤으로 추정, 공산오차 4m 이내로 추정

- 탄두중량을 줄이면 최대 사거리 3,000km까지 가능할 것으로 추정됨

- 북한 수뇌부 지하 거대시설(약 300m 지점) 파괴목적으로 탄두 대부분이 중금속으로 구성(일부만 탄약)

- 낙하속도 마하 10 정도로 추정되며, 정상 발사각(30~45도) 보다 높은 고각으로 발사

- 기본 형상은 현무-II와 유사하나 길이는 더 길어짐

- 콜드론칭방식으로 발사하며, 자세제어용 측 추력기, 접이식 날개 적용

728x9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