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개요 및 역사
- 미국방성(DoD) 국방부(OSD)의 USD R&E(연구공학차관) 소속 연구개발부문 담당 부서
- 국방장관실의 직할조직은 아니나, 장관실의 지시 및 통제를 받음
- 최초의 이름은 고등연구계획국 ARPA,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
1957년 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에 위기의식을 느낀 아이젠하워 대통령 주도로 1958년 창설, 최초 이름은 ARPA
- 미국방부 산하 R&D 기획, 평가, 관리 전담 기관으로 산학연에 연구기획(안)을 제기하고, 연구관리를 통해 최적의 결과물을 선정하는 기구
- 직접연구를 수행하지 않으며, 연구시설 및 인프라도 보유하고 있지 않음, 모든 프로젝트는 외부연구시설에서 수행
- 1972년 DARPA로 개칭 -> 93년 ARPA로 개칭(민간기술개발까지 확대 목적) -> 96년 DARPA로 개칭
2. 주요 성과
1) 인터넷 초기모델 개발, ARPA-NET -> NSF-NET -> Internet
- 핵무기 등으로 군사통신시설 및 통신망 마비에 대비하기위해 개발
- 적의 어떤 공격에도 생존할 수 있는 컴퓨터 네트워크 체계 구축
2)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항법장치
- 최초 군사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민간으로 기술 이전
- 차량 네비게이션, 스마트폰, 지도 앱(구글지도) 등에서 활용
3) Siri
- 군사작전 수행 중 통신이 가능하도록하는 인공지능기술 용도로 개발
- 2000년 스탠포드연구소에서 ‘가상사무보조원’ 개발프로젝트로 진행, 초기 CALO라는 이름으로 개발
- 2007년 음성개인비서로 형태가 변경되, 2010년 애플에 기술이 인수되어 Siri로 발전
4) 의료 및 보건분야
- 인공혈액, 2010년 개발, FDA 검사 완료
- 원격제어 수술로봇(다빈치) 개발
3. DARPA 프로젝트 기획 과정
DARPA의 기본 임무는 미래의 기술수요에 대한 해법 제시, 이미 알려져있거나, 연구개발이 진행되는 주제는 제외
1) 연구기획조건
a) 고위험 고수익: 불확실과 실패확률이 높지만, 성공할 경우 파급효과가 큰 주제
b) 혁신적인아이디어: 기술개발이 아닌 근본적인 개념의 변화를 이끌 주제 (Disruptive & Breakthrough)
c) 가교기술개발: 기초연구와 단기적 개발수요간 간극을 좁힐 수 있는 주제
2) 조건이 갖춰지면, 연구주제의 적합성을 PM스스로 증명하는 작업 (Trust But Verify)
3) 산학연, 공공기관 등에서 연구자 선별, 프로젝트는 3~5년
<참고자료>
특별기획 - DARPA의 주요 특성과 성과 그리고 K-ARPA 구축 제안 - 기술과혁신 웹진
특별기획 - DARPA의 주요 특성과 성과 그리고 K-ARPA 구축 제안 2013년 현재의 우리나라는 새로운 성장동력의 창출과 이에 기반한 경제의 재도약이 필요하다. 우선적으로 새...
webzine.koita.or.kr
'밀리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 ONR, Office of Naval Research (0) | 2023.12.09 |
---|---|
(용어) NAVSEA, Naval Sea Systems Command, 미해군해양체계사령부 (0) | 2023.12.09 |
(용어) CBM, CBM+, 상태기반예측정비 (0) | 2023.12.09 |
(방산기초) 핵심기술, 미래도전국방기술 (0) | 2023.09.26 |
(용어) 한국형 3축체계 (0) | 2023.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