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성개구레이더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되는데, 레이더 대신 소나를 이용하여 수중환경에서 다수의 음향 Ping을 수집한다.
다수의 음향 Ping을 쏘는 것이 특징이며, 수집한 다수의 음향 데이터를 분석, 결합하여 매우 정교하게 처리한 뒤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구현한다.
일반적으로 잠수함에서는 SSS(Side Scan Sonar)를 사용하여 해저 지형을 탐색하고 영상으로 구현하는데, SAS 합성개구소나는 SSS 대비 10배 정도 좋은 해상도의 이미지 구현이 가능하다고 한다.

+작동원리
수중 소나의 경우 트랙에 따른 방위각 해상도는 음향 파장과 배열 길이 사이의 비율로 계산이 가능하다.
일반적 SSS 경우 비율이 1:60(60m 범위에서 1m 해상도) ~ 1:400 정도의 해상도를 가지며, 소나 배열 길이가 길수록 더 높은 해상도 비율을 갖지만, 긴 어레이(배열)를 구성하는 것은 잠수함 혹은 무인잠수정에서 물리적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더 높은 주파수를 이용하면 해상도 비율이 증가하지만, 이와 동시에 수중 흡수율이 높아져 운용 범위가 제한된다.
SAS는 이러한 SSS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다수의 연속 Ping을 방출하여 탐색체로부터 더 많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조합하여 해상도가 더 높은 영상을 구현한다.
SAS는 다수의 연속 Ping을 차례로 방출하여 조합하기 때문에, Ping 간격당 수신 어레이 길이의 절반이상을 이동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SAS의 최대 범위는 수신어레이 길이에 비례하고 플랫폼 속도에 반비례하며, SAS의 이론적인 방위각 분해능은 모든 범위에서 수신어레이에 있는 각 요소 길이의 절반이다.
+SSS, SAS 특징
1) SSS, Side Scan Sonar
- 약 1m의 배열센서를 Beam Forming 하여 10~30cm의 해상도 송출
- 해저지형 측량이나 수중 구조물 구조 및 구난에 사용
2) SAS, Synthetic Aperture Sonar
- SSS가 갖는 배열 센서의 길이 방향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 개의 개구를 합성하여 긴 합성 개구를 얻어내고, 이를 조합하여 영상 해상도를 SSS보다 10배 이상 높게 구현
- 실제 해저면에서 장비 운용 시, 같은 지점을 다수의 Ping으로 쏘면서 소나를 이동하는데, 직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조합하여 영상 송출
- 기뢰 혹은 소형 잠수정을 탐색하거나, 정확한 해저 지형 측량이 가능하게 해 주며, 미해군에서는 SSS를 SAS로 대체하는 중
- 최근에는 주로 무인잠수정에 탑재하여 기뢰를 탐색/식별하는 용도로 주로 활용
<참고자료>
https://www.dbpia.co.kr/pdf/pdfView.do?nodeId=NODE08008051&googleIPSandBox=false&mark=0&ipRange=false&accessgl=Y&language=ko_KR&hasTopBanner=true
DBpia
논문, 학술저널 검색 플랫폼 서비스
www.dbpia.co.kr
https://www.kongsberg.com/maritime/products/ocean-science/mapping-systems/sonars/SAS/
Synthetic Aperture Sonar
Synthetic aperture sonar producing ultra high resolution images and co-registered bathymetry. Frequency range of 70-100kHz
www.kongsberg.com
'밀리터리 > 센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센서) AN/SPY-1 (2) | 2023.05.25 |
---|---|
(탐지) AESA, Act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0) | 2023.05.20 |
(탐지) PESA, Passive Electronically Scanned Array (0) | 2023.05.20 |
(센서) 소나, Sonar, 음향탐지기 (0) | 2023.03.13 |
(센서) SAR, Synthetic Aperture Radar, 합성개구레이더 (0) | 2023.02.16 |